캡처할 크롬창에서 순서대로 진행:

 

1. Ctrl+Shift+I

2. Ctrl+Shift+P

3. full + enter

 

저장경로 지정 후 저장. 당신의 시간은 소중하다.

 

크롬 전체화면 저장


 

https://resultofeffort.tistory.com/121

 

크롬 전체 화면 캡쳐 하는 법

캡쳐할 링크에 접속한다. 1. 오른쪽 상단에 점 세개 클릭2. 도구 더보기3. 개발자 도구 클릭 4. cmd + shift + P (윈도우의 경우 crtl + shift + P)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5. Capture full size screenshot

resultofeffort.tistory.com

 

위 링크에서 설명이 자세하다.

2024년 12월 29일 일요일 17시 부전아트센터에서 유니온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이 있었다. 비올라 연주자로 있던 사촌동생 덕분에 초대되어 연말에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인형 모음곡과 교향곡 제4번을 듣게 되었다.

 

부천아트센터

 

 

그때 느꼈던 감정을 꼭 남기고 싶어서 기록해 본다.

(아래는 참고영상이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차이콥스키, 발레 '호두까기 인형' 1번 (P. I. Tchaikovsky, Ballet 'The Nutcracker Suite' No. 1)

 


 

1. 작은 서곡 (Miniature Overture)

경쾌한 바이올린으로 시작되는 이곡은 이름처럼 가볍고 초대하는 감정이 가득하다.

곧이어 플루트와 클라리넷이 서로 이야기를 하며 잔잔한 트라이앵글 소리가 이 곡의 배경인 크리스마스이브를 알리는 듯하다.

 

서곡(序曲)은 발레나 오케스트라 등의 도입부 음악을 가리킨다. 영단어 Overture는 프랑스어 Ouverture에서 유래하였으며 Opening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출처:나무위키)

 

2. 행진 (March)

빰빠바바밤밤 빰밤바

절제된 트럼펫이 왕자의 출현을 알리는 듯하다. 바이올린의 흐름이 또 다른 발걸음을 연상시킨다. 첼로의 피치카토가 다양한 등장인물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듯하다. 금관악기의 웅장함은 현악기의 산뜻한 흐름 속에 그 무게감이 분산된다.

 

3. 설탕요정의 춤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들릴 듯 말듯한 바이올린의 피치카토가 깔린 배경 위에 첼레스타의 선율을 타고 요정이 나타난다. 베이스 클라리넷이 신비함과 긴장감을 더해준다. 나타난 요정은 무슨 이야기를 건넨 걸까? 잔잔한 고조를 이루다가 이내 퐁 하고 사라진다.

 

4. 러시아 춤(Russian Dance trepak)

썰매를 달리는 기분이다. 현악의 경쾌한 멜로디 속에 눈 위에 미끄러지는 느낌이다. 모든 악기가 도입되어 썰매의 동력과 배경을 만든다. 찰랑거리는 탬버린소리가 생동감과 연말분위기를 더한다.

 

5. 아라비아 춤(Arabian Dance)

다소 생소했던 것 같다. 낮게 깔린 바이올린 선율에 클라리넷이 등장한다. 곡 진행 내내 긴장감이 유지된다.

 

6. 중국 춤(Chinese Dance)

이번엔 바순이 배경이 되어준다. 그리고 이내 익숙한 플루트음이 들린다. 곧이어 바이올린의 피치카토는 가벼운 발재간을 연상시킨다.

 

7. 갈잎피리의 춤(Dance of the Reed Flutes)

곡명처럼 주멜로디는 플루트가 담당한다. 따라오는 바이올린은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를 연상시킨다. 중반부에 도입되는 금관악기로 인해 긴장감이 퍼진다. 순식간에 플루트소리만 남고 다시 처음의 경쾌함을 되찾는다.

 

8. 꽃의 왈츠(Waltz of the Flowers)

낮은 관악기가 곡을 시작한다. 웅장하다. 과연 꽃인가? 벌판을 묘사한 건가? 그러다 산들거리는 하프를 타고 꽃들이 등장한다.

꽃잎은 바람을 타고 어느새 호른이 선포하는 왈츠에 초대된다. 현악기의 쿵작작 쿵작작 속에 클라리넷이 인사한다. 이윽고 현악기가 그 익숙한 선율을 흘러 보내고 관악기가 화답한다. 주고받는 대화를 하다 팀파니와 함께 최고조를 맞이한다.

 


 

 

사람들은 이곡이 끝나자마자 박수를 쳤다. 와. 여덟 곡을 세어서 알았다기보다 이곡이 마지막인 것을 알아서 쳤을 것이다. 이젠 나도 알게 되었다. 나도 자신 있게 감사를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12월엔 차이코프스키다. 연말엔 호두까기인형을 반드시 들어야 한다. 정말 소중하게 즐길 거리를 발견한 순간이었다.

호른소리가 마음을 울렸다. 오랜만에 오케스트라 연주회를 들었는데 유독 호른소리가 나의 마음 깊은 곳까지 들어와 감싸주는 듯했다. 웅장하면서 단단한 소리였다. 너무 진지하지 않은 그러나 진실된 악수, 대화와 같았다.

 

연말 분위기를 가장 생동감 있게 연출한 건 아무래도 퍼커션이다. 정말 다시 보게 되었다. 탬버린과 트라이앵글, 경쾌함과 그 분위기의 연출이 곡의 정의를 내려주는 것 같았다. 일기장의 일시, 소설 속 배경을 알려주는 문구 그 자체였다.

 

멋진 연말이다. 멋진 곡이다. 아름다운 마무리다.

 

'글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 계엄령을 돌아보며 정리하는 민주주의  (3) 2024.12.05

 

출처: 건축탐구집

 

건축탐구 집이 계속해서 알고리즘에 뜬다.

 

서울 강북구, 주차대수 4대면 (2.5x5)x4=50m2다. 자투리땅 등 해서 16평 내외로 보인다.

협소주택은 필연적으로 계단이 들어가고 수직동선에 의해 선택의 폭이 좁아진다. 이 집은 그러한 필연적 공간을 잘 계획하고 선택과 집중을 보였다.

출처: 건축탐구집

구조: 스틸하우스 구조 / 냉간성형강구조(CFS) 구조

짧은 공기와 시공편의성 그리고 경제적 이점(짧은 공기로 인함)이 있다.

단열 작업 전까지 전기 배선이 자유롭다.

출처: 건축탐구집


1층

출처: 건축탐구집

현관쪽이 충분히 넓었다. 계단을 오픈철제 프레임으로 시공하여 개방감을 확보했다.

 

출처: 건축탐구집

서재와 내부 화장실 문이 큰 특징이다.

1층에 고측창을 넣어서 프라이버시를 유지한채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게 했다.

바닥은 파란색 카페트를 설치하여 공간을 구분짓고 고유성을 부여하였다.

화장실 문을 목작업을 통해 책장의 일부가 되게 하였다. 미관과 실용성을 극대화했다.

 

출처: 건축탐구집

계단실 상부에 네모난 천창이 뚫려있어서 답답하지 않고 코어 내부에 채광이 가능하다.


2층

출처: 건축탐구집

단차이가 있는 거실. 내 꿈이다. 푹들어간 소파자리는 아늑하고 감싸지는 위요감을 가지게 된다. 높아지는 층고는 덤이다.

코너창을 두어 뷰를 극대화하였다. 결로문제는 없는지 알고 싶다.

출처: 건축탐구집

LDK 구성으로 화장실 없이 과감하게 2층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다.


3층

출처: 건축탐구집

창을 포기하고 수납장으로 안방을 채웠다. 고측창만 내어 프라이버시를 유지한다.

 

출처: 건축탐구집

화장실은 건식으로 구성을 분리해놓았다. 출퇴근 시간이 다른 부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결과다.

화면 순서대로 세탁실,세면대 반대편 화장실,샤워실,욕실

 


옥탑을 가지고 싶어한 건축주였지만 정북사선으로 인해 포기했다고 한다. 옥상자체를 아예 누리지 못하는 것은 안타깝다.

 

출처: 건축탐구집

입면재료는 타일로 보인다. 깔끔하고 경제적으로 보인다. 더 좋은 선택이 가능할까?


 

정말 잘 지은 집으로 보인다. 물론 신혼부부한정이다. 자녀방은 없다. 그런 의미로는 한정적인 구성원을 만족하겠다.

'건축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현준 건축가의 HOMI를 보며  (0) 2024.12.17

 

 

 

 

 

셜록현준에서 건축가가 살고 싶은 집을 주제로 제주도에 지은 프로젝트를 소개한 영상을 보았다. 이름부터 HOMI, Home of my inspiration 이다.

출처: 셜록현준

 

평면을 보자마자 기하학적이며 사선이 많다고 생각했다. 구성이 지그재그라고 표현했으며 이로부터 나오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표면적이 늘어나 다양한 마당을 누릴 수 있다.

2. 지그재그를 통해 매번 시선이 완전히 변화하여 작은 면적에도 크고 다양한 변주가 있다.

3. 지그재그의 각 코너의 좌석을 꼭지점과 수직을 이루게 하여 한 자리에서 2면을 관망 할 수 있다.

4. 지그재그의 꼭지점을 다시 연결하여 다양한 동선 선택과 활동이 가능해진다.

 

위의 특징 중 2번은 안도가 즐겨쓰는 기법이며 동양적 건축의 특징이다. 안도를 설명했던 기존 영상에 언급된 바 있다.

거실과 침실에 외부마감인 현무암이 실내 그대로 들어오는 연출을 했다. 현무암 반대편을 평평하게 갈아내어 실내마감이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침실 헤드보드 쪽 벽면이 모두 돌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의 천창을 통해 거칠게 빛을 받아내며 시간의 변화를 감지하게 한다. 침실이 가장 중요한 장소로 설계한 만큼 면하는 마당, 즉 뷰에 신경을 많이 썼다.

출처: 셜록현준
출처: 설록현준
출처: 셜록현준

 

신기했던 요소 몇가지는 스마트 글라스(전기를 흘려 불투명하게 변경가능하다)로 구성된 샤워실.

 

티하우스는 600정도 내려가는 것 같다. 좌식으로 된 티하우스에 앉아서 밖을 바라보면 시선과 땅의 레벨이 일치하여 색다르게 자연을 체험하게 된다. 자쿠지에 앉을 때의 시선을 고려한 하부에 뚫린 창도 비슷한 맥락을 가진다.

 

출처:셜록현준

양치를 하며 밖의 마당을 바라보는 것은 참 좋은 것 같다. 양치하는 행위가 휴식이 된다는 것 멋진 일인 것 같다. 예전 사무실에서 타일을 걷어내어 떠붙임몰탈로 가득한 벽면을 보면서 하는 양치는 즐겁지 않다. 첫 회사 복도에서 롯데타워를 보면서 하는 양치가 그나마 휴식이 되었다. 양치할 때 밖을 볼 수 있을 것. 양치가 휴식이 될 것.

 

출처: 셜록현준

 

화장실 위에는 천창을 설치했다. 성스러운 공간이자 자연을 느끼는 공간을 의도했다. 화장실에서의 원초적 행위를 고려한 디자인이다.

 

단점으로 복도는 협소하게 느꼈고 삼각형 풀장도 영상으로 크기가 약간 애매한 느낌이었다.

 

하지만 반원으로 된 침실은 꼭 누려보고 싶은 곳이었다. 3층까지 계획이 가능한 곳에 오롯이 하늘을 더 누리고 수평적 스케일을 유지하여 집중한 것이 과감하고 효과적이었다. 밤이 되어서 의도된 조명으로 드러나는 공간이 더욱 선명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낮은 오히려 마당을 즐기고 밤에는 공간을 즐기는 장소가 된다.

 

 기하학적인 평면이 상당히 인위적인 느낌을 주는 개인적인 취향에서 오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리고 집이라는 느낌보다는 스테이에 가까웠다. 계속 살고 싶다는 느낌은 크게 들지 않았다. 자신이 누리고 싶어하는 공간, 좋아하는 공간을 어떻게 풀어내었고 주어진 대지 안에서 어떻게 극복했는지 자신있고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