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9일 일요일 17시 부전아트센터에서 유니온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이 있었다. 비올라 연주자로 있던 사촌동생 덕분에 초대되어 연말에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인형 모음곡과 교향곡 제4번을 듣게 되었다.

 

부천아트센터

 

 

그때 느꼈던 감정을 꼭 남기고 싶어서 기록해 본다.

(아래는 참고영상이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차이콥스키, 발레 '호두까기 인형' 1번 (P. I. Tchaikovsky, Ballet 'The Nutcracker Suite' No. 1)

 


 

1. 작은 서곡 (Miniature Overture)

경쾌한 바이올린으로 시작되는 이곡은 이름처럼 가볍고 초대하는 감정이 가득하다.

곧이어 플루트와 클라리넷이 서로 이야기를 하며 잔잔한 트라이앵글 소리가 이 곡의 배경인 크리스마스이브를 알리는 듯하다.

 

서곡(序曲)은 발레나 오케스트라 등의 도입부 음악을 가리킨다. 영단어 Overture는 프랑스어 Ouverture에서 유래하였으며 Opening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출처:나무위키)

 

2. 행진 (March)

빰빠바바밤밤 빰밤바

절제된 트럼펫이 왕자의 출현을 알리는 듯하다. 바이올린의 흐름이 또 다른 발걸음을 연상시킨다. 첼로의 피치카토가 다양한 등장인물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듯하다. 금관악기의 웅장함은 현악기의 산뜻한 흐름 속에 그 무게감이 분산된다.

 

3. 설탕요정의 춤 (Dance of the Sugar-Plum Fairy)

들릴 듯 말듯한 바이올린의 피치카토가 깔린 배경 위에 첼레스타의 선율을 타고 요정이 나타난다. 베이스 클라리넷이 신비함과 긴장감을 더해준다. 나타난 요정은 무슨 이야기를 건넨 걸까? 잔잔한 고조를 이루다가 이내 퐁 하고 사라진다.

 

4. 러시아 춤(Russian Dance trepak)

썰매를 달리는 기분이다. 현악의 경쾌한 멜로디 속에 눈 위에 미끄러지는 느낌이다. 모든 악기가 도입되어 썰매의 동력과 배경을 만든다. 찰랑거리는 탬버린소리가 생동감과 연말분위기를 더한다.

 

5. 아라비아 춤(Arabian Dance)

다소 생소했던 것 같다. 낮게 깔린 바이올린 선율에 클라리넷이 등장한다. 곡 진행 내내 긴장감이 유지된다.

 

6. 중국 춤(Chinese Dance)

이번엔 바순이 배경이 되어준다. 그리고 이내 익숙한 플루트음이 들린다. 곧이어 바이올린의 피치카토는 가벼운 발재간을 연상시킨다.

 

7. 갈잎피리의 춤(Dance of the Reed Flutes)

곡명처럼 주멜로디는 플루트가 담당한다. 따라오는 바이올린은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를 연상시킨다. 중반부에 도입되는 금관악기로 인해 긴장감이 퍼진다. 순식간에 플루트소리만 남고 다시 처음의 경쾌함을 되찾는다.

 

8. 꽃의 왈츠(Waltz of the Flowers)

낮은 관악기가 곡을 시작한다. 웅장하다. 과연 꽃인가? 벌판을 묘사한 건가? 그러다 산들거리는 하프를 타고 꽃들이 등장한다.

꽃잎은 바람을 타고 어느새 호른이 선포하는 왈츠에 초대된다. 현악기의 쿵작작 쿵작작 속에 클라리넷이 인사한다. 이윽고 현악기가 그 익숙한 선율을 흘러 보내고 관악기가 화답한다. 주고받는 대화를 하다 팀파니와 함께 최고조를 맞이한다.

 


 

 

사람들은 이곡이 끝나자마자 박수를 쳤다. 와. 여덟 곡을 세어서 알았다기보다 이곡이 마지막인 것을 알아서 쳤을 것이다. 이젠 나도 알게 되었다. 나도 자신 있게 감사를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12월엔 차이코프스키다. 연말엔 호두까기인형을 반드시 들어야 한다. 정말 소중하게 즐길 거리를 발견한 순간이었다.

호른소리가 마음을 울렸다. 오랜만에 오케스트라 연주회를 들었는데 유독 호른소리가 나의 마음 깊은 곳까지 들어와 감싸주는 듯했다. 웅장하면서 단단한 소리였다. 너무 진지하지 않은 그러나 진실된 악수, 대화와 같았다.

 

연말 분위기를 가장 생동감 있게 연출한 건 아무래도 퍼커션이다. 정말 다시 보게 되었다. 탬버린과 트라이앵글, 경쾌함과 그 분위기의 연출이 곡의 정의를 내려주는 것 같았다. 일기장의 일시, 소설 속 배경을 알려주는 문구 그 자체였다.

 

멋진 연말이다. 멋진 곡이다. 아름다운 마무리다.

 

'글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 계엄령을 돌아보며 정리하는 민주주의  (3) 2024.12.05

 

4.19 혁명: *피의 화요일,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독재정권 물러나라. 최초의 민주주의 혁명

1~3대 대통령을 지내고 4선에 도전하여 재취임을 위해 3.15부정선거를 저질렀다. 이에 대항하여 시위 끝에 이승만 하야 선언

*사할사전투표 비밀지령: 불참+기권표인 40%를 미리 투표함에 넣어라, 계획 실패시 운반도중 표를 바꿔치기하라

*민주주의를 배운 중고등학생의 높은 시위참여

*야당 참관인에 의해 사전투표 적발. 야당은 선거중단을 선헌하는 벽보. 불법선거 무효다. 부정선거 다시하라.

*27일 후 발견된 마산 앞바다 김주열 학생 시신발견으로 시민의 분노를 사 일주일만에 전국적 확산 (허종기자, 박종표 경위)

 

5.16 군사정변: 박정희 군부세력의 청와대 장악.

일년이 막 지난 1961년 5월 16일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인 세력이 서울의 주요기관 및 청와대 장악.

*당시 내각제, 장면총리는 혜화동 카멜수도원으로 피신, 승인없이 비상계엄령 선포하고 윤보선 대통령에게 사후승인요구, 거절

*장도영 육군참모총장은 계엄사령관을 맡게됨. 11개월 만에 장면 내각 붕괴

*잦은 시위와 출세길이 막힌 육사8기의 불만. 쿠데타에 대한 어떠한 저항도 없고 국민들은 무관심했으며 장면 총리는 저항을 포기, 장도영은 이중 행동, 윤보선은 타협적 태도를 보였다.

18년동안의 장기집권. 이에 대한 반대시위가 일어남

 

10.26 사태: 측근 김재규의 박정희 피살 (1979년 10월 26일, 남산 궁정동의 중앙정보부 안전가옥 나동건물 2층)

박정희, 김계원(대통령 비서실장), 차지철(경호실장), 김재규(중정부장), 심수봉(국민여동생), 여성참가자

*10월 4일 김영삼 신민당 총재 제명, 정치적 고향인 부산 마산 시위(부마항쟁), 유신헌법 발표

* 비가오면 생각나는 그사람, 각하, 정치를 좀 대국적으로 하십시오

*7시 육군참모총장 정승화와 이중약속, 7시 40분 총성, 정승화를 태우고 남산으로 향하던 차는 육본으로 유턴한다.

*야수가 된 심정으로 유신을 쐈다. 도망친 김계원의 증언로 6시간만에 김재규 체포

*10.26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전두환 취임, 보안사령관이 됨 (군대 정보와 기밀을 다루는 수사정보기관)

 

12.12 사태: 1979년 전두환의 신군부 쿠데타. 군대로 정권을 불법 장악.

신군부 세력 퇴진을 외치는 시위확산, 이에 계엄령 선포하고 전국적으로 확산하여 시위 진압.

*10.26사태 이후 권력의 공백을 차지한 계엄사령관 정승환 총장을 끌어내릴 작전명 생일집 잔치 시행.

*정총장이 궁정동 안가에 있었다는 명분으로 체포와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결재를 동시에 받는 양동작전 계획

*걸림돌인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 김진기 헌병감,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서울 연희동에 약속을 핑계로 묶어놓았다.

*국방장관 피신, 특전사령부 1,3,5공수 반란군, 즉 군내 비밀사조직 하나회 (육사11기 경상도 출신 전두환 중심 친목모임)

*하나회 1공수 김포서 진격, 9공수 부평서 출발. 이에 각자 철수하자는 신사협정의 전두환의 제안, 지키지 않았다.

*자고 일어나니 세상이 바뀌었다. 장태완, 김진기, 정병주 장군 모두 강제전역

 

5.18 민주화 항쟁: 광주에서 일어난 계엄령 철회와 민주화를 요구한 시위. 계엄령에도 불구하고 소리를 내었던 도시.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세력은 본보기로 광주를 쑥대밭으로 만들기로 함. 계엄군 파병. 광주 출입통제. 내부 소식을 알 수 없게 된다.

시민을 향해 발포. 민주주의를 외쳤던 죄. 맞서싸운 이들은 간첩으로 세상사람들에게 알려짐.

 

민주주의라는 나무는 피를 먹고 자란다.

 

'글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의 왈츠가 끝나면 나도 박수를 치고 싶다  (0) 2024.12.31

+ Recent posts